지난해 청약자 절반은 30대 이하근거리 통근 선호…직주근접 단지 높은 인기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30대 이하의 젊은 층이 주택 시장의 주요 수요층으로 자리 잡으면서, 직장과 가까운 주거지를 선택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4일 한국부동산원의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30대 이하의 매매 비중은 2022년 28.41%에서 2024년 30.26%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1월에는 31.74%를 기록하며 여전히 높은 거래 비율을 보였다. 청약 시장에서도 30대 이하의 영향력이 확인된다. 연령별 청약 신청자 정보를 살펴보면 전국 아파트 청약자 198만4436명 중 30대 이하가 105만7467명으로 전체의 53.29%를 차지했다. 젊은 세대의 이 같은 움직임은 직장과 가까운 주거지를 찾는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의 ‘2024년 부동산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현 거주 주택으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이 ‘직장과의 거리/직주근접성’이라고 답한 비율은 △20~34세(60%) △35~49세(43%) △50~69세(42%)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2030세대를 노린 직주근접 입지를 갖춘 단지도 공급을 앞두고 있다. 롯데건설은 서울 용산구 갈월동 일원에 청년안심주택 ‘용산 남영역 롯데캐슬 헤리티지’ 임차인을 모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24층 1개동 총 269가구 규모로 이중 217가구를 민간 임대로 공급한다. 단지는 지하철 1호선 남영역이 바로 앞인 초역세권인데다 지하철 4호선 숙대입구역과 4·6호선 환승역인 삼각지역을 모두 걸어서 이용할 수 있는 트리플 역세권 단지다. 여기에 청파로, 원효로, 한강대로 등의 주요 도로망도 인접해 있어 종로, 여의도, 마포 등의 업무지역이 가까워 직주근접성이 뛰어나다. 두산건설 컨소시엄은 경상남도 창원특례시 진해구 여좌동 일대 대야구역 재개발정비사업을 통해 선보이는 ‘창원 메가시티 자이&위브’를 분양 중이다. 지하 4층~지상 37층, 17개 동, 총 2638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주변에 양곡교차로 개선사업이 진행 중으로 개통 시 창원국가산업단지까지 10분 만에 이동할 수 있을 예정이다. 제일건설은 4월 경기도 양주시 양주역세권에서 ‘양주역 제일풍경채 위너스카이’를 분양한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40층, 4개 동, 총 702가구 규모다. 경기양주 테크노밸리, 회천도시첨단산업단지 등 대규모 산업단지가 인근에 조성될 예정이다. 현대건설은 4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용인 남사(아곡)지구에 ‘힐스테이트 용인마크밸리’를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최고 27층, 7개동 전용면적 84㎡~182㎡, 총 660가구로 조성된다.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예정)와 용인반도체클러스터와 가까운 입지에 들어서는 단지다. 관련기사
헌재 “윤석열 파면” 주문“정치 이슈보단 금리·규제 등 요인이 더 영향”다주택자 규제 강화 본격화 전망도여름 비수기 지난후 본격 시장정상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선고를 두고 부동산 시장 향방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전문가들은 정치적 불확실성보다 현재 부동산 시장에서는 금리·규제·수급이 주요 키워드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4일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했다. 이날 오전 11시 22분께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항은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한다”는 탄핵심판 선고 주문을 읽었다. 파면의 효력은 즉시 발생해 이를 기점으로 윤 대통령은 직위를 잃게 됐다. 윤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한 때로부터 122일만, 지난해 12월 14일 탄핵소추안이 접수된 때로부터 111일 만이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시장의 눈길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움직임에 쏠리고 있다. 이에 대해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탄핵이 인용되며 정치 불확실성이 일정 부분 해소됐다.”면서 “시장 참여자들의 관망 심리가 완화되며 추세 방향에 대한 ‘선택’이 이뤄질 수 있는 시점이 도래한 것인데, 정치 이슈보다는 금리, 규제 등 복합적 요인이 더 중요하다”고 짚었다. 양 수석연구원은 이어 “차기 정권 출범까지 약 두 달 간의 공백이 생기며 발 빠르게 시장에 대응하려는 투자자들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다주택자들은 가장 가치가 높은 한 채를 남겨놓고 처분(매각 또는 증여)하려고 하면서 비교적 입지가 떨어지는 쪽을 급매로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며 “내 집 마련을 계획하는 일부 대기 수요자들도 저가 매물 중심으로 거래에 나서면서 거래량이 다소 증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얼 상상인증권 연구원도 “재건축 추진 단지를 중심으로 한 수요는 유지되고 있으나 매수 관망 심리가 되살아나면서 거래가 제한적으로 발생해 전반적으로 가격 흐름은 유지되고 있다”며 “강남(+0.15%)은 송파(+0.28%), 강남(+0.21%), 양천(+0.20%) 내 재건축 추진 단지들을 위주로 상승하면서 전주 대비 상승폭 역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똘똘한 한 채’ 심화 현상 강화…정책 방향 불확실성은 ‘여전’다주택자 대상 규제 강화도 본격화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김효선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이전 정권에서 시행하다가 현재 답보 상태인 ‘공시지가 현실화 방안’ 등은 재추진되면서 보유세가 강화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부동산 관련 세금 중 소위 부자 세금인 2주택자 취득세와 양도소득세, 종합부동산세 등은 강화될 가능성이 있고 서민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공급은 추진 동력이 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민주당은 시장을 가라앉히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규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며 “향후 시장의 투기 억제를 위해서 세금, 부과금 등의 정책 강화에 방점을 둘 것”이라고 내다봤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도 “최근 민주당에서 나왔던 보고서들을 보면 임차인들의 권리 보호와 토지 공개념 강화 등으로 정책의 방향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결국 다주택자 강화 규제가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장기적으로는 ‘똘똘한 한 채’ 현상을 심화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기준금리 인하는 다소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이달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당시 신청된 주택담보대출이 본격 실행되면서 가계부채가 급증할 가능성이 있어서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현재 미국 관세부과로 인해 대내외 경기둔화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금리인하의 필요성이 증대한 부분을 인정하더라도 대선 국면에서 공급 물량 확대 가능성과 현재 경기둔화 분위기는 5월과 8월 정도 금리인하 실시를 예상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사실상 4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당장 금리인하를 결정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설명이다. 양지영 연구원은 “금리 인하가 자칫 부동산 과열의 불쏘시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지며 정부는 7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 이후 하반기 인하 여부를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어 “집값 상승세가 성동·강동·마포 등지로 확산할 경우 해당 지역에 대한 토허제 추가 지정이나 DSR 규제 강화 조치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다만 정책 방향의 불확실성과 여름철 비수기, 금리 인하 시점 지연 가능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분양시장 위축은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올해 하반기 들어서야 분양시장이 활기를 되찾을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는 이유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탄핵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는 미미하다. (3기 신도시, 주택 공급 등 장기 정책 등의 경우) 공공, 임대, 이익 환수 등 세부적인 디테일은 바뀔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양 연구원은 “9월 이후 정치·정책 불확실성이 해소된 시점을 중심으로 공급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건설사 입장에서는 ‘미분양’이라는 낙인이 찍히게 되면 미분양 해소하는 데 큰 걸림돌이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해소가 되어 수요자들이 움직일 수 있는 여름 비수기 이후로 볼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관련기사
포스코이앤씨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 1번지 옛 대구 MBC 부지에 위치한 ‘어나드범어’를 오는 5월 분양할 예정이라고 4일 밝혔다. 어나드범어는 내년 1월 입주를 앞둔 후분양 아파트로, 그동안 대구에서는 경험하지 못했던 최상의 주거 환경을 선사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어나드범어는 지하 6층에서 지상 33층까지 총 5개 동 규모이며, 아파트와 주거형 오피스텔, 판매시설로 구성된다. 아파트는 전체 604가구가 대구에서 귀한 대형 평형(전용면적 136~242㎡)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대구지하철 2호선 범어역이 인근에 자리하며 동대구로와 달구벌대로도 가까워 대구 시내외 이동이 편리하다. 교육환경도 우수하다. 범어초, 경신중, 경신고 등이 가까이 있고, 수성구청역 학원가까지 근접해 명문학군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포스코이앤씨의 ‘더샵 AI스마트홈’ 시스템과 세대 내 음식물 쓰레기 자동이송 시스템이 적용되어 주거편의성도 대폭 향상했다. 고품격 커뮤니티 시설로 이목을 끈다. 대구 최초로 입주민 전용 단지 내 영화관과 상층부는 입주민 전용 스카이 커뮤니티를 계획 중이다. 어나드범어는 프라이빗 홍보관인 어나드 라운지를 사전 예약제로 운영 중이이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노후화된 기존 단지들이 새로운 고급화 요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고급화 단지인 어나드범어에 많은 관심과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며 “최고급 하이엔드 주거단지로 재탄생시켜 많은 기대에 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尹파면 이후 부동산 시장전망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로 국내 부동산 시장에 드리웠던 정치적 불확실성은 일단 걷혔다. 그러나 금융당국의 대출 조이기 영향과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속에 미국의 ‘관세정책’까지 덮치면서 단기적으로 시장 관망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 반면 조기 대선 실시 이후 하반기로 갈수록 수급 불안에 따른 매매가격 상승 압력도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강해져 ‘똘똘한 한 채’ 현상은 더 강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4일 오전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직후 부동산 시장 전문가들은 매일경제와의 통화에서 전반적인 거래 시장이 당장 활성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인한 세계 경제 침체 공포와 인플레이션 우려 등이 고개를 들고 있기 때문이다. 약 두 달 후 치러지는 대선 결과에 따라 주택정책 방향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는 위험도 문제다. 실제로 올해 2월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급등했던 서울 아파트 가격도 다시 횡보하는 추세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시장이 불확실할 때는 거래가 늘어나지 않는다”며 “부동산 심리가 위축되고 가격은 약보합세를 보이는 ‘조정 국면’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도 “부동산 시장은 탄핵 선고로 시장 불확실성이 완벽히 해소되지 않는다”며 “어수선한 시기가 겹쳐 연기됐던 분양 물량이 시장이 나오는 정도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따라 정부가 그동안 추진했던 부동산 정책이 대부분 동력을 상실한 점도 문제다. 윤 전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자 국정과제로 추진됐던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전면 재검토와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재초환) 폐지 등은 사실상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도심 재건축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골자의 ‘재건축·재개발 촉진에 관한 특례법’(재건축 특례법)도 여야의 입장차가 큰 만큼 좌초될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정권 교체를 통해 더불어민주당 정부가 집권한다면 부동산 정책이 ‘규제’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최근 민주당에서는 전세 계약을 10년 보장하는 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이 토론 주제로 나왔다가 여론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일각에서는 하반기로 갈수록 전셋값 상승 압력이 심해지면서 집값이 상승 국면으로 트는 거 아니냐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서울 입주 물량은 9640가구, 2027년은 9573가구로 예상된다. 올해 예정 물량(3만7681가구)의 4분의 1 수준이다. 여기에다 금리까지 내리면 매수 심리가 전환할 수 있다는 얘기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 이후부터 문재인 전 대통령 취임까지는 전국 집값은 상승세를 보였다. 파면 선고가 있던 2017년 3월 집값은 전월보다 0.38% 뛰었다. 같은 해 1월(-0.26%), 2월(0.02%)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섰던 2017년 5월(0.68%)과 이후 6월(1.06%), 7월(1.28%) 역시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 다만 부동산 전문가들은 당시 기준금리 인하가 가격 상승의 주요한 요인이라고 분석한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아직은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아 ‘똘똘한 한 채’ 위주로 시장이 흘러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정권이 바뀌어도 저성장을 해소하고 불경기를 살리기는 어렵다”며 “경기와 금리, 주택 공급 등 추이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개점휴업 상태’인 분양시장은 정치 불확실성이 다소 걷히면서 다시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리서치 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만5868가구에 달했던 전국 일반분양 물량은 비상계엄 후부터 급감했다. 건설업계는 정치 불확실성이 다소 걷히면서 향후 분양 일정은 다시 검토하고 있다. 대형 건설사 A사 관계자는 “상반기 이후로 시장 상황과 일정을 다시 들여다볼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尹파면 이후 부동산 전망임대차법 개정·재초환 폐지 등尹정부 규제완화책 동력 상실대출 조이기·토허제 확대 영향당분간 거래줄면서 숨고르기금리인하와 공급부족 우려에하반기엔 집값 불안 커질수도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선고로 국내 부동산 시장에 드리웠던 정치적 불확실성은 일단 걷혔다. 그러나 금융당국의 대출 조이기 영향과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속에 미국의 '관세정책'까지 덮치면서 단기적으로는 시장 관망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 반면 조기 대선 실시 이후 하반기로 갈수록 수급 불안에 따른 매매가격 상승 압력도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4일 오전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직후 부동산 시장 전문가들은 매일경제와의 통화에서 전반적인 거래 시장이 당장 활성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인한 세계 경제 침체 공포와 인플레이션 우려 등이 고개를 들고 있기 때문이다. 약 두 달 후 치러지는 대선 결과에 따라 주택정책 방향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는 위험도 문제다. 실제로 올해 2월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급등했던 서울 아파트 가격도 다시 횡보하는 추세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시장이 불확실할 때는 거래가 늘어나지 않는다"며 "부동산 심리가 위축되고 가격은 약보합세를 보이는 '조정 국면'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도 "부동산 시장은 탄핵 선고로 시장 불확실성이 완벽히 해소되지 않는다"고 내다봤다.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따라 정부가 그동안 추진했던 부동산 정책이 대부분 동력을 상실한 점도 문제다. 윤 전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자 국정과제로 추진됐던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전면 재검토와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 폐지 등은 사실상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도심 재건축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골자의 '재건축·재개발 촉진에 관한 특례법'(재건축 특례법)도 여야의 입장차가 큰 만큼 좌초될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정권 교체를 통해 더불어민주당 정부가 집권한다면 부동산 정책이 '규제'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하반기로 갈수록 전셋값 상승 압력이 심해지면서 집값이 상승 국면으로 전환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서울 입주 물량은 9640가구, 2027년엔 9573가구로 예상된다. 올해 예정 물량(3만7681가구)의 4분의 1 수준이다. 여기에다 금리까지 내리면 매수 심리가 전환할 수 있다는 얘기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이후부터 문재인 전 대통령 취임까지는 전국 집값이 상승세를 보였다. 파면 선고가 있던 2017년 3월 수도권 집값은 전월보다 0.36% 뛰었다. 같은 해 1월(-0.26%), 2월(0.02%)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섰던 2017년 5월(0.68%)과 이후 6월(1.06%), 7월(1.28%) 역시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 다만 부동산 전문가들은 당시 기준금리 인하가 가격 상승의 주요한 요인이라고 분석한다. 아직은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아 '똘똘한 한 채' 위주로 시장이 흘러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정권이 바뀌어도 저성장을 해소하고 불경기를 살리기는 어렵다"며 "경기와 금리, 주택 공급 등의 추이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위지혜 기자 / 손동우 기자] 관련기사
3월 155명, 중국인이 절반23명은 강남3구서 집 사들여 지난달 서울 부동산을 산 외국인이 2개월 연속 증가했다. 6개월 내 가장 많은 수준이다. 최근 서울 주택시장 거래가 활발했던 가운데, 주택을 비롯한 토지·건물 등 알짜 부동산을 사두려는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4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3월 서울 부동산(집합건물·토지·건물 포함)을 매매한 외국인은 모두 155명으로 전월(148명) 대비 4.7% 증가했다. 서울 부동산 매수인 가운데 약 1.2%다. 서울 부동산을 사들인 외국인이 150명을 넘긴 것은 지난해 11월(183명) 이후 6개월 만이다. 서울 부동산을 산 외국인은 지난해 11월 이후 하락세를 타 올해 1월 131명까지 내려갔다. 그러다 2월(148명)부터 상승세로 전환했다. 3월 매수 외국인을 국적별로 보면 중국이 76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미국(40명), 캐나다(17명), 호주(6명), 대만(5명), 일본·뉴질랜드·우즈베키스탄(각각 2명) 순서였다. 특히 중국인은 전월(53명) 대비 24명 늘어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중국인이 가장 많이 매수한 지역은 구로구(15명)였다. 구로구에 인접한 금천구(14명), 영등포구(7명), 관악구(5명) 등도 많이 사들였다. 미국인이 가장 많이 매수한 지역은 서초구(9명)다. 미국인 매수인의 약 23%가 이 지역에 몰렸다. 지난달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를 매수한 외국인은 23명이다. 미국 13명, 중국 6명, 캐나다 4명으로 구성됐다. 외국인의 서울 부동산 매수세가 강해진 것은 최근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늘어난 것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2월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이날 기준 6228건으로, 대출 규제가 시작된 지난해 8월(6538건) 이후 가장 높았다. 3월 거래량도 이날 기준 6143건으로, 이달 말까지 신고 기간이 한 달가량 남아 있어 7000건을 넘길 가능성도 있다. [손동우 기자] 관련기사
‘휴먼타운’ 종로구 신영동 214 정비계획 변경…저층주거지 개선 속도 건축기준 풀어 비아파트 정비·공급 활성화 서울시는 ‘휴먼타운 2.0’ 시범사업지인 종로구 신영동 214번지 일대에 대한 ‘주거환경개선사업구역 정비계획 변경’을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휴먼타운 2.0은 전면 철거 방식의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아닌 노후 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의 신축·리모델링 등 개별 정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시범 사업지는 종로구 신영동 214번지, 구로구 구로동 85-29번지, 중랑구 망우동 422-1번지 일대 등 3개소다. 이 중 신영동 214번지는 국토교통부의 ‘뉴빌리지’ 선도 사업지다. 이번 주거환경개선사업구역 정비계획 변경의 핵심은 특별건축구역, 건축협정집중구역, 리모델링활성화구역 지정을 통해 건폐율과 용적률을 완화하는 등 건축 기준을 풀어 신축·증축 등 주택 정비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그동안 신영동 214번지 일대는 자연경관지구, 고도지구 등 지역적 특성 때문에 신축이나 증축이 어려웠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된 데 이어 이번 정비계획 변경으로 건축협정집중구역, 리모델링활성화구역 지정까지 가능해져 비아파트 주택 공급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와 종로구는 기존 휴먼타운 2.0 사업지 내 건축주에게 사업비 최대 30억원까지 대출이자를 최대 3% 지원하고, 건축주의 재산 현황 및 공시가격을 고려한 집수리 자금 융자를 지원하는 등 금융대책도 시행한다. 시는 비아파트 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한 마을 주차장 등 기반 시설 조성 계획도 수립할 예정이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나머지 중랑구 망우동, 구로구 구로동 지역도 조속히 특별건축구역 등 지정을 추진할 예정”이라면서 “비아파트 주택 공급으로 신축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상도 14·15 재개발구역신속통합정비구역 지정 서울 동작구 상도동 일대 노후 빌라촌이 4395가구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로 탈바꿈한다. 3일 동작구(구청장 박일하)가 상도 14·15구역에 대한 신속통합기획 정비구역 지정을 고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정비계획안이 통과된 데 따른 절차다. 구는 주민 공람 등 절차를 빠르게 진행해 약 3개월 만에 이번 고시를 이끌어냈다. 고시에 따라 빌라촌으로 구성된 저층 노후 주거단지의 경사를 없애고 테라스하우스, 연도형 상가 등이 어우러지며 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주거단지가 탄생할 예정이다. 상도 14구역은 1191가구(최고 29층·13개 동), 상도 15구역은 3204가구(최고 35층·33개 동) 규모의 아파트 단지로 재개발된다. 인근 도화공원과 연계해 소공원, 미술관, 문화공원 등도 만든다. 특히 단지는 국사봉을 중심으로 휴식과 조망을 즐길 수 있는 이른바 '숲세권' 아파트가 될 전망이다. 박일하 동작구청장은 "이번 정비구역 지정을 통해 노후화된 주거환경 개선으로 주변 지역 개발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동작구의 지도를 바꾸기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황순민 기자] 관련기사
불안감 커지는 한남2 재개발고도제한 완화 등 서울시 거부실망커지자 조합 총회에 상정2년 전에도 투표때 반대로 무산하반기 철거 이주 코 앞인데시공사 교체땐 사업지연 우려건축비·금융비용 상승 불보듯 이태원 역세권에 가까워 ‘금싸라기’ 재개발로 평가받는 한남2재정비촉진구역이 시공사 대우건설에 대한 재재신임 여부를 조합원 투표에 부친다. 2023년 9월 재신임 총회 이후 1년7개월 만에 같은 안건이 다시 상정되는 것이다. 조합 내부에서도 시공사에 대한 불만과 “이제 와서 시공사를 교체하는 것은 실익이 없다”는 현실론이 맞서며 사업 차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남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은 4일 대의원회를 소집하겠다고 공고했다. 주요 안건은 오는 27일 임시총회를 열고 조합원들에게 대우건설의 시공자 지위 유지 여부를 묻자는 것이다. 한남2구역은 서울 용산구 보광동 272-3 일대 11만여 ㎡ 용지에 지하 6층~지상 14층 아파트 30개동, 총 1537가구를 짓는 재개발 사업이다. 올해 하반기 이주를 시작해 2027년 착공 및 분양을 목표로 사업이 추진 중이다. 최근에는 관리처분인가를 위한 막바지 준비 단계에 들어섰다. 하지만 시공사 신임 여부가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오면서 사업 향방이 안갯속에 빠졌다. 조합이 다시 신임 여부를 묻게 된 것은 대우건설이 수주 당시 내세운 ‘118 프로젝트’가 현실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남뉴타운은 남산 경관 보호를 위해 건물 높이 90m 이하로 제한돼 있는데 대우건설은 이를 118m까지 완화해 최고 21층 아파트를 짓겠다고 공약했다. 하지만 서울시가 해당 인허가에 대해 줄곧 부정적인 입장을 유지하면서 이 계획은 무산됐다. 이후 조합과 대우건설은 대안으로 정비구역을 관통하는 도로를 없애 블록 통합을 추진했다. 관통도로가 제거되면 용적률이 높아지고 대형 커뮤니티 시설 등을 조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우건설은 지난해 조합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해 ‘고도제한 완화보다 블록 통합 우선 추진’으로 계획을 전환했고 서울시 및 용산구와 인허가 협의를 이어왔다. 그러나 서울시가 올해 초 “한남뉴타운 전체 교통량을 고려할 때 관통도로는 유지돼야 한다”는 의견을 조합에 전달하며 반대 입장을 밝히자 조합은 대우건설에 대한 재신임 문제를 다시 꺼내들었다. 조합 측은 공고문을 통해 “고도제한 완화와 단지 통합 등 실현 불가능한 현실을 직시했고, 더 이상 사업 지연을 방조할 수 없다”며 “대우건설 시공자 지위에 관한 재재신임 총회를 거쳐 신속히 사업을 진행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반면, 대우건설은 이번 사안이 시공사만의 잘못으로 단정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고도제한 완화나 관통도로 폐지 모두 서울시 도시계획 기조와 밀접하게 연관된 사안으로, 민간 시공사 혼자의 역량만으로는 풀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가 있다. 대우건설은 조합 및 인허가청과 약 50회의 회의를 거쳐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논의해왔으며 현재는 지하통합을 통한 대형 커뮤니티와 주차장 확보를 추진 중이다. 또 대우건설은 국공유지 매입을 위한 브리지론 1676억원을 연대보증하고, 용역비도 전액 부담하는 등 사업성 확보를 위한 실질적 기여를 해왔다는 입장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조합과의 협의를 통해 변화된 상황에 맞는 대안을 성실히 추진해왔다”며 “하반기 철거를 앞두고 시공사를 교체하면 조합원에게 실익보다 손해가 클 수 있다”고 말했다. 정비업계에서는 이번 총회가 조합원들의 장기적 부담을 가를 중대한 기로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은 “지금 시점에서 한남2구역이 더 나은 시공사를 찾는 건 어려워 보인다”며 “이주가 미뤄지고 공사비와 금융비용이 오르는 등 사업 전체에 파장이 클 수 있다”고 말했다. 조합원들 사이에서도 의견은 갈린다. 시공사의 미흡한 성과에 책임을 묻자는 쪽과 더 이상의 사업 지연은 감당하기 어렵다는 쪽이 맞서고 있다. 앞서 대우건설 재신임을 물었던 2023년 총회는 대의원회에서 부결됐으나 조합장의 직권 상정을 통해 개최됐다. 당시 조합 제적 인원 909명 중 742명이 참석한 가운데 투표를 진행했다. 찬성은 414표, 반대는 317표, 무효·기권은 11표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월세·관리비 결제대행 서비스인 홈스페이가 오는 7일부터 네이버페이와 손잡고 결제 폭을 확대한다. 네이버페이는 국내 1위 간편결제 서비스업체인 만큼 홈스페이 이용자들의 편의 역시 커질 전망이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월세, 관리비 무이자 카드결제서비스를 운영하는 홈스페이는 4월 7일부터 월세와 관리비 등을 네이버페이로 결제가 가능하도록 계약을 맺었다. 이건영 홈스페이 대표는 “월세, 관리비 등을 개인 간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가 예정된 가운데 카드결제시장 선점을 위해 국내 1위 네이버페이와 손을 잡게 됐다”며 “이로써 보다 편리하게 청년층과 현금 유동성이 부족한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홈스페이는 그 동안 업계 최저 수준인 2~3%대의 수수료를 받고 월세와 관리비 무이자 카드결제서비스를 제공해왔다. 특히 최근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월세 비중이 더 커지자 홈스페이 이용자들 역시 늘어나고 있다. 홈스페이에 따르면 지난 2024년 5월 서비스를 오픈한 이후 회원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불황과 장기간 부동산 침체와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11월까지 주택 임차 거래 시 월세 비중은 57.4%로 집계돼 최근 5년 평균치(46.1%)보다 11.3%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이 대표는 “월세와 관리비도 무이자 카드결제서비스 이용시 경제적 부담은 덜고 특히 소상공인들의 경우 사업 운영에 더 집중할 수 있는 여유 자금 확보가 가능해진다”며 “앞으로도 홈스페이는 회원들의 결제 편의성과 만족도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전국 2조7595억원 거래…1월 대비 67.8% 올라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시장이 지난 2월 반등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상업용 부동산 기업 부동산플래닛에 따르면 2월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량은 1035건으로 전월(855건) 대비 21.1% 증가했다. 거래 금액은 전월(1조6446억원)에서 2조7597억원으로 67.8% 늘었다. 지난해 동월과 비교하면 거래량은 1044건에서 0.9% 감소했으나, 거래금액은 1조8159억원에서 52.0%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전국 17개 시도 중 12곳에서 전월 대비 거래량이 늘었다. 특히 제주(23건)가 전월 대비 187.5% 오르며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어 △강원(65건) 132.1% △울산(20건) 81.8%, △대전(24건) 71.4% 등이 뒤를 이었다. 거래 금액은 세종이 1월 17억원에서 2월 102억원으로 500% 증가하며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강원(431억원) 302.8% △제주(141억원) 206.5% △서울(1조7895억 원) 172.3% 등 11개 시도에서 상승 추이를 보였다. 2월 상업업무용 빌딩이 가장 많이 거래된 지역은 경기 화성시(34건)로 파악됐다. 거래된 금액은 서울 중구가 9636억 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가장 최고가에 거래된 빌딩은 서울 중구 저동1가에 위치한 대신파이낸스센터로 6620억원에 거래됐다. 관련기사
배우 손예진이 244억원에 사들인 강남 건물의 대출이자가 월 5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대표는 27일 유튜브 ‘김구라 쇼’를 통해 이같은 분석을 내놨다. 손예진은 2022년 8월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과 9호선 신논현역 사이 대지면적 277.7㎡(84평)의 2층짜리 노후 상가를 244억원에 매입했다. 그는 옛 건물을 허물고 지하 1층~지상 5층 연면적 724㎡(219평)짜리 새 건물을 올려 작년 6월 준공했다. 등기부등본상 채권 최고액이 180억원인 것을 미루어보면 손예진은 약 150억원을 대출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김 소장은 “일단 손예진 씨가 샀던 땅이 80~84평 정도다. 꼬마빌딩 딱 올리기 좋은 사이즈인데 244억원에 샀더라. 그러면 평당 3억원 정도에 산 거다”라며 “강남에 평당 3억원이면 괜찮은 대로변에 상업 지역에 산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요즘 많이 힘든 사람들이, 건물을 2층에서 5층으로 올린 사람들이다. 차라리 2층 짜리를 잘 관리하면 건축비가 안 들어간다”고 덧붙였다. 그는 “요즘 건축비가 많이 오른 상태인데, 신축으로 짓게 되면 건축비가 들어간다”며 “건축비도 보면 단순 생각에도 84평이면 용적률 5층 정도 올렸다면 연면적이 250평 정도 나올 거다. 건축비가 요즘 평당 1000만원 정도 들어가는데 건축비만 총 25억원 정도 들었을 거다”라고 추정했다. 아울러 “그럼 산 가격에 건축비가 들어갔다. 이제 지었으니 임대를 해야 한다. 임대 가격은 정해져있다. 내가 투자급 대비 수익률이 얼마 나와줘야 하는데, 최근 강남에서도 경기가 너무 안 좋다 보니 그 가격에 안 들어오는 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격을 내리면 건물 가치가 내려간다. 이게 딜레마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구라는 “계속 비워둘 수는 없다”며 “경기가 드라마틱하게 상승할 것도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자 김 소장은 “그게 고민이다. 손예진 씨 같은 경우도 채권 최고액이 180억원 정도 되더라. 그러면 대출 150억원 정도 받은 거다. 대출이자를 4% 생각해도 1년에 6억원 정도를 지금 내고 있는 거다”라고 설명했다. 김구라는 “1년에 6억원이면 1달에 5000만원 정도 된다”며 “지금 원래 월세로 내야 하는데, 그게 아니라 생으로 5000만원씩 내는 거다”고 했다. 김인만이 “연예인들은 되지 않을까, 안되냐”고 말하자 김구라는 “인류애적인 관점을 가져라. 아무리 돈이 많아도 5000만원씩 생으로 들어가는 건 말이 안 된다. 언제 끝날지 모른다. 손예진이 아니라 누구라도 감당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김인만은 “힘들겠다. 공감이 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AI, 빅데이터 기반 GIS 분석 솔루션 ‘토지프로’- 인프라개발, 스마트팜, 스마트시티 등 활용범위 넓어... ㈜스마트팜센터(대표 조만호)는 토지 분석과 개발을 위한 시뮬레이션 플랫폼 토지프로(Toji-pro)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토지프로는 토지의 분석부터 시설 배치 및 설계, 사업 타당성 검토, 투자자 연결까지 한 번에 제공하는 올인원 토지 분석·개발 플랫폼으로 복잡하고 고비용 구조의 기존 토지개발과정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개선하였다. 기존의 스마트팜을 포함한 복합단지 개발 시장은 제한적인 정보와 전문성 부족, 복잡한 분석 절차와 검토 과정에 소요되는 오랜 기간 등으로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정부와 지자체, 기업은 산업단지 조성, 생산시설 구축 등 다양한 토지개발이 필요하지만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 부족, 과다한 사전 비용지출로 정확한 사업성 검토가 안되어 사업의 진행여부 판단에 어려움이 많았다. 토지프로(Toji-pro)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당 토지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분석·제공하고 체계적인 사업 추진을 지원할 예정이다. 토지프로(Toji-pro)는 지리정보(GIS)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토지 분석, 다양한 시설의 배치 및 설계, 사업성 분석, 개발자 및 투자자 연결 기능을 제공해 토지개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며, 누구나 쉽게 사업성 검토를 하고 최적의 개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토지프로(Toji-pro)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지도상에서 원하는 토지를 선택하면 시스템이 해당 부지의 토지정보, 자연환경, 도시계획 등 공식 데이터를 활용한 신뢰성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개발 가능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시설 배치 기능을 통해 다양한 시설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으며, 시설별 세부 정보를 설정하여 맞춤형 설계를 진행할 수 있다. 배치 및 설계가 완료된 후에는 표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사업성 분석을 통해 손익 예상과 자세한 자금흐름 전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후 컨설팅 및 투자자와 연결하여 실제 사업 진행에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 받을 수 있다. ㈜스마트팜센터의 조만호 대표는 “토지프로(Toji-pro)를 활용해 신규 토지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합리적인 토지개발 사업이 확산되며 관련 산업 시장의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하고, 토지프로(Toji-pro)가 “스마트팜과 농업개발, 부동산 개발과 투자, 환경분석, 스마트시티와 인프라개발에 사용이 가능하며, AI솔루션을 통해 전세계 어느 지역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플랫폼으로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개발사인 ㈜스마트팜센터는 토지 개발 및 운영 전문기업으로 국내외 스마트팜, 대단위 복합 단지 개발과 지식산업센터, 물류센터 등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식물공장 구축, 미래농업 인력 양성을 위한 인재 개발 사업, 사우디를 비롯한 해외 개발사업 등 국내외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기사
정부 2025년 지적 통계 공표여의도 3.6배인 10.5㎢ 증가지속적 토지개발 사업 영향 지속적인 토지개발 사업 영향으로 지난해 우리 국토 면적이 여의도 3.6배에 달하는 10.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국토교통부는 국토 정책 수립과 행정 업무 활용에 기초가 되는 ‘2025년 지적(地籍) 통계’(2024년 12월 31일 기준)를 1일 공표한다고 밝혔다. 지적 통계는 지적 공부(토지·임야대장)에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행정구역(시·도, 시·군·구)별, 지목(토지 종류)별, 소유(개인, 국·공유지 등)별로 필지와 면적을 집계해 매년 공표하는 국가 승인 통계다. 1970년 처음 작성된 후 1982년 11월 국가 승인 통계로 지정됐다. 지난 10년간 토지와 임야대장에 등록된 국토 면적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10만459.9㎢로 전년 대비 10.5㎢ 증가했다. 이는 여의도 면적(2.9㎢)의 3.6배에 달하는 크기다. 인천시 경제자유구역 공구 매립 준공, 전남 남악 오룡지구 택지개발 사업 등 지속적인 토지개발 사업에 따라 국토 면적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면적이 큰 순서는 경북 1만8428.1㎢(18.3%), 강원 1만6830.8㎢(16.8%), 전남 1만2363.1㎢(12.3%)으로 나타났다. 작은 순서로는 세종 465㎢, 광주 501㎢, 대전 539.8㎢ 순이다. 지난 10년간 주요 시설 면적 증감 추이를 살펴본 결과 산림·농경지(임야·전·답·과수원) 면적은 1630.1㎢ 감소(-2%)한 반면 생활 기반 시설(학교 용지) 면적은 507.5㎢(16%), 산업기반 시설(공장·창고 용지) 면적은 276.7㎢(28%), 교통 기반 시설(도로, 철도, 주차장, 주유소) 면적은 434.9㎢(13%), 휴양·여가 시설(공원, 체육용지, 유원지) 면적은 254.1㎢(47%) 증가했다. 이는 주거·산업 용지와 기반 시설 확충이 뚜렷이 늘고 있는 경향을 잘 나타낸다. 특히 지난 10년간 면적이 가장 많이 증가한 생활 기반 시설 면적의 경우 대지에 건설하는 집합건물 면적은 206.4㎢, 학교 용지 면적은 16.1㎢, 단독주택 대지 등 기타 면적은 285㎢로 각각 증가했다. 이는 도시 집중 현상에 따른 주거 방식 변화에 의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토를 소유자별로 분석하면 개인 49.6%, 국유지 25.6%, 법인 7.6%순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10년간 국유지, 도·군유지, 법인소유 토지의 면적은 각각 3.6%, 9.1%, 1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법인 소유 공장 용지와 대지 면적은 각각 176㎢, 112㎢ 증가했다. 이는 지속적인 산업단지 개발로 인한 사업용 토지 증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 측은 “지적 통계는 모든 국토의 면적과 이용 현황 등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며 “토지 관련 정책 수립, 학술 연구 등에 기초 자료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 공공기관, 도서관, 학교 등 280여 개 기관에 배포하고 전자파일 형태(PDF) 전문도 함께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동의서 취합·검증 소요 기간기존 5개월서 2주로 확 단축 경기도 일산과 분당 등 1기 신도시를 비롯한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기 위해 전자동의 시스템이 본격 가동된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그간 정비사업 현장에서는 사업 단계마다 필요한 서면동의서 취합과 검증에 과도한 인력·비용과 시간이 투입되는 탓에 전자동의 방식 도입에 대한 지속적 요구가 있었다. 이에 정부와 국회는 도시정비법 개정과 노후계획도시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전자동의 시스템 운영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한 바 있다. 다만 1기 신도시 정비사업의 경우 신속한 추진이 필요한 만큼 관련 법령 시행에 앞서 전자투표 조기 도입을 추진해 왔다. 스마트도시 규제 특례를 적용받아 전자투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기존 정비사업에서 토지 등 소유자의 동의서 징구·검증은 3000가구 기준 5개월 이상 시간이 걸렸다. 동의서 1회 징구에 약 1억원의 비용도 소요됐다. 하지만 전자동의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동의서를 취합하면 검증까지 걸리는 시간은 단 2주로 단축되고 비용도 450만원으로 절감된다. 전자동의 시스템의 구축과 운영은 한국국토정보공사(LX)가 전담한다. 시스템 활용을 원하는 지방자치단체는 LX와 업무협약을 맺고 사업장 관련 정보와 개인 정보 등을 제공하면 된다. LX는 알림톡, 문자 등을 통해 토지 등 소유자에게 전자투표 링크를 발송하며 토지 등 소유자는 전자투표를 실시한다. 투표 종료 후 LX는 전자투표에 대한 통계·보고서를 확인한다. 전자동의 시스템을 처음 사용할 땐 토지 등 소유자의 투표권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토지 등 소유자의 개인 정보 동의서 취합과 검증이 필요하다. 또 노령층 등 디지털 취약 계층을 배려하기 위해 오프라인 방식의 투표도 병행 추진해야 한다. 이번에 도입된 전자동의 시스템을 통해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의 단계별 준비 기간은 대폭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1기 신도시 선도지구를 시작으로 노후계획도시 특별정비 예정구역에서 주민대표단 구성을 위한 주민동의 절차에 활용될 전망이다. 이후에도 예비 사업시행자와의 협약 체결, 특별정비계획안 입안 제안, 사업시행자 지정 동의 등 토지 등 소유자의 동의가 필요한 경우 모두 전자동의 시스템을 활용하면 된다. 아울러 조합 총회 등 추진 때 오프라인 총회와 함께 온라인 총회도 개최할 수 있다. 국토부 측은 “이달 중순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선정 구역 전체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주민설명회를 열어 주민대표단 구성 등 제반 사항에 관해 설명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했다”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특별정비계획이 차질 없이 수립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안을 마련하는 등 현장 중심 지원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평택고덕·밀양부북 등2개 사업 단일 컨소시엄경쟁 위해 재공모 결정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주하는 올해 첫 민간참여 공공주택 건설사업이 경쟁 구도를 이루지 못해 사업자 재공모에 나선다. 4일 LH는 평택고덕과 밀양부북 일원에서 추진되는 올해 제1차 민간참여 공공주택 사업에 대한 사업신청 확약서 마감 결과 이들 사업지 모두 단독 참여 구도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평택고덕에선 현대건설 컨소시엄만 참여했다. 우미건설과 동부건설 등이 함께 한다. 이 일원은 Abc-12블록(942가구), Abc-27블록(602가구), A-65블록(837가구) 등으로 구성되며 민간사업비는 총 7716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모두 뉴홈 일반형이다. 밀양부북 사업도 BS한양 컨소시엄의 단독 구도다. 대보건설과 강산건설 등이 참여한다. 이 사업은 A-1블록(744가구), S-2블록(322가구) 등 총 민간사업비 2947억원 규모다. A-1블록은 뉴홈 일반형(426가구)과 통합공공임대(318가구)로 나뉜다. S-2블록은 뉴홈 일반형(114가구)과 선택형(208가구)이다. LH는 제1차 민참사업 2개 패키지에 대한 재공고를 냈다. 오는 8일 오전 11시까지 사업신청 확약서를 받아 경쟁 구도 조성을 유도한다. 다만 업계에선 미분양 등의 우려로 기존 단일 컨소시엄 확정이 유력하다고 전망한다. LH는 올해 총 8조원에 육박하는 13개의 민간참여 공공주택 건설사업을 이달까지 추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시일이 촉박해 다음달까지로 연기될 가능성이 커졌다. LH 측은 “탄핵 심판 결과와 관련해 사업 일정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는 알 수 없다”며 “참여 민간기업은 사업협약 체결 후 정당한 사유 없이 주택 건설 사업계획을 승인하지 않을 경우 다른 사업 참여 제한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6월부터 소득·부채 상황 제출 오는 6월부터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금안심대출보증을 받으려는 임차인은 자신의 소득과 부채 상황을 제출해야 한다. 3일 HUG는 앞으로 전세보증 시 임차인의 상환 능력을 함께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는 전세 보증금의 80% 이내에서 수도권 4억원, 그 외 지역은 3억2000만원까지 보증이 가능했지만, 과도한 전세대출을 막기 위해 보증 한도 산정 기준에 상환 능력 항목을 포함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이미 같은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주택금융공사(HF), SGI서울보증과 같이 HUG도 차주의 소득과 기존 대출 등을 반영한 뒤 전세대출보증 심사를 진행하게 된다. 이번 조치는 6월 이후 신규 신청자부터 적용되며 기존 보증을 이용하고 있는 임차인이 대출을 연장할 경우에는 원래 보증 한도가 그대로 적용된다. 특히 HUG는 이달 중순부터 인터넷 홈페이지(www.khug.or.kr)에서 소득, 부채 등 정보를 입력하면 예상 보증 한도를 미리 조회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도 제공한다. 유병태 HUG 사장은 "5월부터 HF나 SGI서울보증과 같이 은행에 대한 보증기관 보증 비율을 기존 100%에서 90%로 낮춰 적용하는 한편 6월부터는 대출받는 차주의 상환 능력까지 고려해 전세대출이 더 합리적으로 이뤄지게 할 것"이라고 전했다. [서진우 기자] 관련기사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오는 6월부터 전세금 안심대출 보증을 심사할 때 임차인의 상환 능력도 들여다 본다. 과도한 전세 대출 방지를 위한 조치다. 3일 HUG에 따르면 보증 한도 산정 기준에 소득과 부채 등을 아우르는 ‘상환능력’ 항목을 추가한다. 기존에는 임차인의 상환 능력과 관계 없이 전세보증금의 80% 이내에서 수도권은 4억원, 그 외 지역은 3억2000만원까지 보증을 해줬다. 개편된 제도는 오는 6월 신규 신청자부터 적용한다. 다만 현재 보증을 이용 중인 임차인이 대출을 연장할 때는 기존 보증 한도가 유지된다. HUG는 이달 안으로 HUG 홈페이지에서 임차인이 소득과 부채 정보를 입력하면 예상 보증 한도를 미리 조회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HUG와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주택금융공사(HF), SGI서울보증의 경우 이미 임차인 상환 능력을 고려해 전세 대출 보증을 심사하고 있다. 관련기사
한국부동산산업학회가 이달부터 ‘이승한 논문상’을 신설, 매년 총 4편(최우수 1편·우수 3편)을 선정해 시상한다. 3일 한국부동산산업학회에 따르면 수상작은 한 해 동안 협회가 발간하는 ‘부동산산업연구’에 게재된 논문 가운데 이승한 통찰경영연구소와의 공동 심사를 통해 선정한다. 상금은 최우수 논문 200만원과 우수 논문 각 100만원씩 총 300만원이다. 올해 시상 결과는 오는 12월 23일 학회 홈페이지에 게시할 예정이다. 이 상의 명칭은 홈플러스 창업회장이자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석좌교수와 한국부동산산업학회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인 이승한 교수의 이름을 따서 제정됐다. 한편, 한국부동산산업학회는 2009년 부동산산업과 국가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됐다. 매년 2회의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연간 3회의 ‘부동산산업연구’ 학술지를 발간하고 있다. 관련기사
포스코이앤씨가 3일 서울 강남구 더샵갤러리에서 임직원과 협력사 대표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동반성장지원단' 출범식을 가졌다. 2010년부터 16년째 이어져온 동반성장지원단은 포스코이앤씨가 가진 인프라스트럭처를 활용해 중소 협력사가 필요로 하는 분야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협력사와의 공동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둔다. 올해 동반성장지원단은 3개 분야(기술 개발·교육·컨설팅)의 22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600여 개 협력사가 참여해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정창식 동반성장지원단장은 "참여 협력사가 기술 역량 향상에 실질적 도움을 느끼도록 내실 있게 운영하겠다"며 "중소 협력사와 함께 친환경 미래 사회 건설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희수 기자] 관련기사
호반건설 1군 건설사 중 최저"원가 관리와 비용 절감 덕분" 부동산 경기가 악화하면서 부채 비율이 300~400%에 이르는 건설사들의 법정관리 신청이 잇따르는 가운데 호반건설의 재무건전성이 업계 최고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호반그룹은 지난해 총 매출액 9조782억원, 자산 16조8814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2023년 총 매출액이 8조1627억원, 자산 규모가 16조943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전년에 비해 각각 9154억원, 7871억원이 증가했다. 특히 그룹 주력사인 호반건설은 건설업 불황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재무건전성을 보였다. 호반건설은 별도 기준 부채 비율이 18.7%를 기록했다. 이는 1군 건설사 중 가장 낮은 수치로, 전년 대비 7.6%포인트 감소했다. 유동성 비율은 500%를 유지했다. 호반건설의 영업이익률은 11.5%로 업계 최상위권이다. 지난해 호반건설의 연결기준 매출액은 2조3706억원, 영업이익은 2716억원을 기록했다. 호반건설 측은 "지속적인 원가 관리와 비용 절감 효과로 업계 최상위권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상장 기업인 대한전선을 주력 계열사로 둔 호반산업은 매출액 6323억원, 당기순이익 971억원을 달성하며 흑자 경영을 지속했다. 대한전선은 별도 기준 매출액 3조233억원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16%의 큰 증가세를 보였다. 부채 비율은 68%, 유동 비율은 200%를 유지했다. 호반그룹은 "미국, 유럽, 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수주 호조와 매출 증가에서 기인한 것"이라며 "대한전선은 우수한 경영 성과와 재무건전성을 기반으로 향후 지속 성장이 전망되는 글로벌 전력 수요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위지혜 기자] 관련기사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탑실로 152, 206동 24층2403호 (공세동,탑실마을대주피오레2단지)
[아파트] 입찰인원 : 3명
감정가: 694,000,000
최저가: 485,800,000
낙찰가: 612,872,222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363-6
[근린시설] 입찰인원 : 9명
감정가: 521,666,400
최저가: 365,166,000
낙찰가: 502,111,111
경기도 화성시 수노을1로 147, 107동 1층103호 (새솔동,송산그린시티요진와이시티)
[아파트] 입찰인원 : 10명
감정가: 524,000,000
최저가: 366,800,000
낙찰가: 475,555,000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로 182, 101동 9층901호 (마북동,교동마을엘지자이아파트)
[아파트] 입찰인원 : 18명
감정가: 560,000,000
최저가: 392,000,000
낙찰가: 469,827,000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 636-7
[숙박시설] 입찰인원 : 6명
감정가: 1,151,287,900
최저가: 330,098,000
낙찰가: 415,793,000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동 1525-1
[주택] 입찰인원 : 2명
감정가: 755,191,120
최저가: 370,044,000
낙찰가: 415,550,000
광주광역시 광산구 단전둘레길 15, 104동 11층 1103호 (하남동,하남3지구모아엘가)
[아파트] 입찰인원 : 13명
감정가: 440,000,000
최저가: 308,000,000
낙찰가: 371,111,000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권광로 211, 4층404호 (인계동,동수원메디뷰)
[근린상가] 입찰인원 : 1명
감정가: 486,000,000
최저가: 340,200,000
낙찰가: 360,000,000
광주광역시 남구 원효천2길 13, 제101동 제7층 제704호 (송하동,효천코오롱하늘채)
[아파트] 입찰인원 : 6명
감정가: 400,000,000
최저가: 280,000,000
낙찰가: 329,990,000
광주광역시 북구 양산제로 95, 102동 13층 1303호 (연제동,골드클래스)
[아파트] 입찰인원 : 12명
감정가: 355,000,000
최저가: 248,500,000
낙찰가: 293,560,000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월곡리 349-4
[농지] 입찰인원 : 23명
감정가: 25,116,800
최저가: 7,202,000
낙찰가: 258,540,170
인천광역시 계양구 서운로 34, 116동 20층2002호 (서운동,계양효성해링턴플레이스)
[아파트] 입찰인원 : 17명
감정가: 303,000,000
최저가: 212,100,000
낙찰가: 229,146,000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 58-1
[농지] 입찰인원 : 1명
감정가: 487,135,000
최저가: 218,237,000
낙찰가: 220,220,000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연신로 166, 제108동 제18층 제1801호 (신용동,광주첨단2지구사랑으로부영)
[아파트] 입찰인원 : 3명
감정가: 270,000,000
최저가: 189,000,000
낙찰가: 216,500,000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조원로46번길 6, 4층402호 (조원동,주건축물제1동)
[다세대(빌라)] 입찰인원 : 1명
감정가: 290,000,000
최저가: 203,000,000
낙찰가: 203,000,000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337, 2층2-11호 (청천동,부평 제이타워3차 지식산업센터)
[근린상가] 입찰인원 : 5명
감정가: 448,000,000
최저가: 153,664,000
낙찰가: 193,649,999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 625
[대지] 입찰인원 : 6명
감정가: 370,477,400
최저가: 127,074,000
낙찰가: 191,310,000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대로921번길 30, 1동 11층102동1101호 (간석동,센트라움주건축물)
[오피스텔] 입찰인원 : 7명
감정가: 189,000,000
최저가: 92,610,000
낙찰가: 133,550,000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한나루로585번길 3, 13층1302호 (주안동,대명아파트)
[아파트] 입찰인원 : 3명
감정가: 243,000,000
최저가: 119,070,000
낙찰가: 128,900,000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한나루로585번길 3, 13층1301호 (주안동,대명아파트)
[아파트] 입찰인원 : 4명
감정가: 242,000,000
최저가: 83,006,000
낙찰가: 117,777,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