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 올해 매매가 두 자릿수↑
외곽은 ‘제자리걸음’으로 대비
대체 불가능한 입지 가치 증명
현금 부자 매입세가 시세 견인
올해 서울 아파트 시장이 극명한 양극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서초·강남 등 이른바 ‘최상급 입지’로 꼽히는 지역은 매매가가 꾸준히 상승하며 서울 평균을 크게 웃돈 반면 외곽 지역은 보합세에 머무르면서다.
전문가들은 ‘비쌀수록 더 오른다’는 말이 현실로 나타났다고 분석한다.
13일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1~10월 기준) 송파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15.88% 상승하며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강남구 역시 12.39% 오르며 그 뒤를 이었으며 서초구도 10.96%의 상승률을 보였다.
다만 노도강(노원·도봉·강북) 등 서울 외곽 지역은 같은 기간 ▲노원 3.2% ▲도봉 2.05% ▲강북 2.41% 상승에 그쳐 강남권과의 격차가 뚜렷했다.
이 같은 격차의 중심에는 ‘입지 불변의 법칙’이 자리하고 있다. 우수한 학군, 강남권 일자리 접근성, 편리한 교통망 등은 대체할 수 없는 프리미엄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재건축 기대감이 이어지는 반포·잠원·개포 등 핵심지는 자산가들의 매입세가 꾸준히 이어지며 시세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 거래량이 많지 않음에도 강남 주요 단지는 호가가 꾸준히 오르고 있다. 강남구 청담동, 서초구 반포동, 송파구 잠실동 등 국내 대표 ‘부촌’은 매물 희소성에 따른 프리미엄이 붙으며 신고가 단지가 속출하고 있다.
일례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청담 르엘’ 전용 84㎡A 입주권은 지난 9월 61억5000만원(국토부 실거래가)에 거래돼 분양가(25억1120만원) 대비 36억3880만원 상승했다. 이는 동평형 기준 청담동 최고가다.
앞서 전용 111㎡ 입주권은 지난 3월 70억원에 거래되며 또 한 번 최고가를 경신한 바 있다.
송파구 신천동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의 전용 84㎡ 분양권은 지난 10월 41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직전 신고가(33억403만원) 대비 7억9597만원 오른 수준아다.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 84㎡ 역시 지난 6월 72억원에 거래돼 직전가(66억5000만원)보다 5억5000만원 뛰었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최상위권 쏠림’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공급이 제한된 상황에서 재건축 기대감과 고급화 수요가 맞물리며 상위 입지 중심의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강남권 아파트는 단순한 주거 공간이 아니라 안정적인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실수요보다 현금 부자들의 매입세가 시세를 이끄는 구조가 고착화되면서, 내년에도 ‘최상위 시장 중심의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