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전 서울 강남권의 한 재건축 아파트 현장. 아침부터 확성기 소리가 고막을 때리고 사람들의 몸싸움이 격렬했다. 민주노총 건설노조 측이 한국노총 노조원의 출입을 막아서며 1000여 명이 맞불 집회에 나선 것이다.
2019년 건설 현장은 뜨거웠다. 건설 관련 노동조합들의 춘투(春鬪), 하투(夏鬪)가 끊이지 않았다. 타워크레인 노조가 총파업을 벌였고 다른 노조들의 크고 작은 집회가 이어졌다.
집회 이유는 여러 가지였지만 돌이켜 보면 문제는 결국 ‘일자리’였다. 타워크레인 총파업도 소형 타워크레인이 발단이었는데 대부분 노조에 소속돼 있던 대형 크레인 기사들 일자리를 지켜야 한다는 목적이 컸다. ‘밥그릇 싸움’의 절정은 앞서 언급한 양대 노총의 충돌이었다. 전국 현장 곳곳에서 “우리 조합원을 많이 써달라”며 몸싸움을 벌였고 수십 명이 다쳤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지난 정부는 ‘건폭과의 전쟁’을 선포하면서 노조 활동도 수그러들었다.
최근 건설노조가 돌아온 분위기다. 새 정부가 들어서고 노란봉투법 통과와 각종 건설안전 관련 법규 강화 기조가 마련되면서 다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 모양새다. ‘100일 집중 투쟁을 위한 전국 동시 기자회견(9월 1일)’을 필두로 연말까지 건설노조의 총파업과 총력 투쟁이 줄줄이 예고돼 있다. 건설노조의 활동 타깃은 아직까지는 건설안전특별법 추진 등 정책 측면에 맞춰져 있다.
부디 노조 활동이 ‘밥그릇을 위한 파워게임’으로 변질하지 않길 바란다. 그렇지 않아도 경기 침체 국면에 정부·여당이 노란봉투법을 통과시키고 건안법까지 처리에 속도가 붙을 가능성이 커지면서 건설업계 긴장감은 고조되고 있다. 여기에 노조 압박까지 정도를 벗어난다면 상황이 최악으로 치닫는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이 주민 안전 등을 이유로 서울 노원구 월계동 광운대 역세권 개발 공사 현장에 도입을 검토한 레미콘 생산시설 ‘배치 플랜트(BP)’ 설치가 무산됐다. 레미콘 현장 생산으로 일감이 줄어드는 걸 우려한 레미콘운송노조가 강하게 반발했기 때문이다. 뭔가 찝찝한 느낌이 드는 것은 괜한 우려 탓일까.
손동우 부동산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