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전국 지식산업센터 거래량
전년 동기比 45.3% 급감
경매물량 1880건 중 382건 매각
평균 낙찰율도 20.3% 불과
2020~2021년 부동산 호황기 동안 아파트 대체 투자처로 주목받았던 수도권 지식산업센터가 대규모 공실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경매시장에서도 찬밥 신세는 마찬가지인데, 나오는 매물이 족족 유찰되고 있다.
1일 상업용 부동산 데이터 기업 부동산 플래닛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지식산업센터 거래량은 총 552건으로, 이는 전년 동기(1010건) 대비 45.3% 감소한 수준이며, 최근 5년 내 가장 낮은 수치다.
경매시장에서도 외면을 받고 있다. 지지옥션 자료를 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전국에서 나온 지산센터 경매물량 1880건 중 382건만 매각돼 평균 낙찰율은 20.3%에 그쳤다.
한 때 주거용 부동산의 대체 투자자로 부상했던 서울 수도권 지식산업세터도 사정은 비슷했다. 수도권은 1426건 중 327건이 낙찰돼 23.0%, 서울은 203건 중 26건만 매각돼 12.8%였다. 4월에는 서울 내 20건이 모두 유찰되기도 했다.
지식산업센터는 제조업·지식산업·정보통신산업 사업장과 근린생활·판매시설 등이 입주할 수 있는 집합 건축물이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2020년대 초 공급이 쏟아졌지만, 2022년 하반기부터 금리 상승과 부동산 경기 침체가 겹치며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앞서 정부는 작년 2월부터 공실 문제 해결을 위해 입주 가능한 업종을 기존 제조업, 지식산업, 정보통신업종에서 통신판매업, 전문건설업 등으로 확대했다. 또 고양시는 회계·세무 등 서비스업을 포함해 약 30개 업종의 입주를 허용했고,, 서울 금천구는 건설업, 방송업, 스마트팜 등 총 9개 업종을 추가했다. 구로구는 건설업, 금융업, 법무·세무 전문서비스업 등 7개 업종을 확대했다.
“용도 변경 통해 주택공급 해결”
일각에서는 주택 공급 부족을 고려해 공실로 남은 지식산업센터를 수리한 뒤 주택으로 용도를 바꾸자는 의견이 제기된다.
앞서 지난달 5일 국회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공실기간이 1년 이상이고 공실률이 25% 이상인 (지식산업센터의) 경우 일정 비율을 주거용이나 지원시설로 용도 변경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창업 수요가 예전보다 크게 줄어든 만큼, 지식산업센터의 용도를 변경하지 않는 이상 경매 물량은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기존 지식산업센터의 용도 전환은 빠른 시일 내 실현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기존 지산센터는 구분 소유자가 존재해 용도 변경이나 리모델링 결정을 내릴 때 일정 비율 이상의 동의가 필요해 빠른 실행은 쉽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