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사려는 사람도, 파는 사람도 매매가가 더 오른다고 생각 안 하는 것 같아요.”
‘강남3구’로 서울 부동산 시장 ‘바로미터’로 꼽히는 서울 서초구에서 공인중개사무소를 운영하는 A씨는 지난 10일 “매수 문의가 뚝 끊겼다”며 “호가가 계속 올랐는데 조정될 거 같다”며 이같이 밝혔다.
12일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은 일주일 전보다 0.29% 오르는 데 그쳤다. 전주(0.40%) 대비 상승폭이 빠졌다.
전국(0.07%→0.04%)과 비교해도 이번 대출규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다.
특히 올해 들어 집값 상승을 견인했던 강남·서초·송파구 등 일명 강남 3구의 폭등세가 가라앉는 분위기다. 강남구(0.73%→0.34%), 서초구(0.65%→0.49%), 송파구(0.75%→0.38%) 모두 오름폭이 축소됐다.
또 다른 공인중개사 B씨는 “그동안 호가가 단 기간 내 워낙 높아져서 시장도 어느정도 수긍하는 분위기”라며 “전체적으로 시장 분위기가 많이 가라앉아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달 27일 서울 등 수도권에서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최대 6억원으로 제한하는 등의 고강도 대출 규제를 내놨다. 이후 2주 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상승폭을 반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이번 정책을 ‘맛보기’라고 표현하면서 추가적인 규제도 사실상 예고됐다. 이에 수요 억제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공인중개사무소 소속 C씨는 “규제가 더 있다고 하니 일단 거래가 ‘올스톱’이라고 보면 된다”면서 “2~3개월 지나면 거래는 되겠지만, 더 강력한 규제가 나와 가격이 오르락 내리락 해야 업자들도 장사가 된다”고 했다.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강남 소재 공인중개사 E씨는 “애시당초 토지거래허가제(토지 거래 시 관할 지자체 허가를 받는 제도) 영향이 컸다. 집값 자체가 워낙 높으니까 6억 대출 규제로 거래가 끊겼다는 느낌은 없다”며 “다른 지역은 몰라도, 강남 부동산 가격을 떨어뜨리는 정책은 아닌 셈”이라고 말했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교수는 “거래 자체는 당분간 다소 동면 상태에 들어갈 것”이라며 “그 와중에 급매물 가격이 떨어질 수는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일부 가격 조정 현상은 있겠지만 그게 아파트 단지의 전체 가격을 끌어 내릴지는 회의적”이라며 “특히 다른 지역에 비해 강남 3구는 영향이 덜할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