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매물로 나오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이 늘고 있다. 미분양이 산적한 지방뿐만 아니라 서울에 위치한 아파트, 주상복합 등 주거시설 개발사업지도 경매나 공매로 넘어가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15일 금융투자협회 정보공개 플랫폼 자료에 따르면 금융권에서 매각을 추진 중인 부동산 PF 사업장은 지난달 31일 기준 총 384곳으로, 이는 1월 22일(195곳) 대비 두배 가까이 증가한 수준이다.
금융권의 PF대출, 토지담보 대출, 채무보증 등 익스포저(특정 금융회사와 연관된 금액 정도)도 1월 3조1000억원에서 3월에는 6조3000억원으로 증가 추세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에 비해 침체의 골이 깊은 지방의 매각 중인 PF사업장(1월 111곳→3월 237곳)이 2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은 84곳에서 147곳으로 75% 늘었다. 수도권 중 서울도 17곳에서 30곳으로 76% 늘었다. 다만 전국 매각 추진 PF사업장 가운데 서울이 차지하는 비율은 8.7%에서 7.8%로 감소했다.
지방에 비해 아파트 분양 여건이 좋은 서울 지역에서 경·공매로 넘어가는 주거시설도 꾸준히 증가했다.
서울에서 매각을 추진 중인 아파트와 주상복합, 다세대주택, 타운하우스 등 주거시설 PF사업장은 올 1월 10곳에서 3월 18곳으로 늘었다. 이 중에는 ‘악성 미분양’이라고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사업장도 7곳 포함됐다.
부동산금융업계는 건설사들의 유동성 악화로 부동산 시장 매입이 줄면서 PF 부실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고 짚었다. 특히 시장 침체가 극심한 지방 비주택 사업장 정상화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일각에서는 부실 PF 사업장 미정리는 건설사 유동성 악화와 공급 차질로 번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제는 부실 PF 사업장이 다수 매물로 나와도 이를 사들일 만한 시공사가 없다는 것이다. 악성 미분양 물량이 먼저 해소돼야 하지만, 단기간 성과를 내기란 대내외적 여건이 좋지 않아서다.
한 주택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 침체가 심한 지방의 악성 미분양을 해소하려면 수분양자 양도세 비과세 혜택과 법인사업자 취득세 감면, 종부세 비과세 등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정부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