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두달간 공모 나서
정부가 청년, 고령자, 중소기업 근로자 등 특정 수요자에 맞춘 임대주택 공급을 위해 공공주택 사업자(지방자치단체·한국토지주택공사·지방공사 등)를 상대로 특화주택 공모를 실시한다.
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특화주택은 거주 공간과 함께 사회복지시설, 돌봄공간, 도서관, 공유 오피스 등 다양한 지원시설을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공모에 선정된 사업은 국가가 지원하는 주택도시기금 출·융자 등을 통해 지역 여건에 맞는 특화주택을 공급할 수 있다.
국토부는 공모에 관심 있는 지자체, 지방공사 등을 대상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함께 권역별 사업 설명회를 최근 개최했다. 이번 특화주택 공모는 다음달 8일까지 진행된다. 이후 제안서 검토, 제안 사업 현장 조사(국토부·LH), 제안 발표와 평가위원회 심의를 거쳐 8월 중 결과가 나온다.
우선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은 지난해 하반기 공모부터 도입된 유형으로 지자체 등 사업 시행자가 출산·귀농·귀촌 장려 등을 위해 지역 수요에 따라 입주 자격, 선정 방법, 거주 기간 등을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고령자 복지주택은 미닫이 욕실문, 안전 손잡이 등 주거 약자용 편의 시설이 적용된 임대주택과 사회복지시설을 함께 설치해 주거와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대주택으로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다.
청년특화주택은 도심 내 청년층 주거 안정을 위해 역세권 등 우수 입지에 청년 선호 평형, 붙박이 가구 등을 반영한 주거 공간과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대주택이며 미혼 청년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은 중소기업 근로자의 주거비 경감 등을 위해 공유 오피스, 창업센터 등 특화시설을 함께 제공하는 임대주택이다. 창업가, 중소기업 근로자, 산업단지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한다.